소원신용회복센터

    메인메뉴

    이름
    연락처
    관심분야
    채무
    거주지역
    비밀번호
    스팸방지코드
    개인정보취급방침

    공지사항

    제목

    공무원, 금융권 관련 종사자의 개인회생 신청 시 끼치는 영향

    공무원, 금융권 종사자 또는 일부 공기업 직원이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경우, 일반 직장인과는 다른 주의점과 영향이 있습니다. 법적으로 개인회생을 신청하는 것 자체가 불이익 사유는 아니지만, 직종 특성 상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관들이 있습니다.

     

    1. 공무원

    ->원칙적으로 개인회생 신청은 공무원 신분 유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 

    면직 또는 징계 사유는 아님(공무원법에 명시된 경우에만 징계 가능)

    다만, 개인회생 중 공무원 윤리강령 위반, 금전 문제로 인한 형사 처벌 등 은 징계대상이 될수 있습니다.

    ->상사나 인사부서에 통보될 가능성은 낮지만 급여자료 요청 등으로 노출 가능성은 있습니다.

    다만, 일부 기관은 신고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정기적인 채무 상황 보고 요구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2. 금융권(은행, 보험사, 캐피탈 등)

    ->금융권은 일반적으로 신용과 도덕성을 중시하는 업종입니다. 

    내부 규정 상 개인회생 또는 신용불량 기록이 채용, 승진, 전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
    ->직장 내 신고 의무가 있는 경우 개인회생 신청 사실이 드러날 수 있습니다.

    회사가 개인회생을 알게 될 경우 금융사 내부 규정에 따라 인사상 불이익 가능성이 있습니다.(면직까지는 드물지만 좌천이나 경고, 징계 등 가능)

    ->은행권은 직원이 신용불량 상태를 문제삼고 정기적으로 신용 조회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     

    3. 일부 공기업(예:한국전력, 국민건강보험공단, 한국도로공사 등)

    ->공무원에 준하는 인사 규정을 가진 곳은 대부분 공무원처럼 개인회생으로 자격을 상실하지는 않습니다.

    다만, 내부 인사규정에 따라 신용정보 등록이 채용 및 승진에 반영될 수 있고, 개인회생 신청이 의무 보고 대상일 수 있습니다.

    ->채무를 숨기고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징계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.

    ->돈을 다루는 부서일수록 개인 신용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▨ 직업 별 영향 

        <직종>             <개인회생 영향도>      <비고>(법적 자격은 누구든 문제없음)

         공무원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낮음                  신고의무 없음, 징계대상 아님

         금융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높음                  신용상태 중요, 불이익 가능성 큼

         공기업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중간                  기관별 규정 확인 필수

     

    *** 이런 경우 반드시 아래 사항을 확인 후 개인회생을 신청해야 합니다.

    1. 소속 기관의 인사규정 또는 윤리규정

    2. 신용정보 관리 여부(NICE, 올크레딧 등 본인 조회)

    3. 신고 의무 여부(내부 감사 지침 확인)

    첨부파일 다운로드

    등록자소원법률

    등록일2025-09-25

    조회수521

    • 페이스북 공유
    • 트위터 공유
    • Google+ 공유
    • 인쇄하기
     
    스팸방지코드 :